맨위로가기

열쇠 (1959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9년 영화 《열쇠》는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소설을 원작으로, 고미술 감정가와 그의 젊은 아내, 딸과 사위가 얽힌 성적 욕망과 질투, 배신을 다룬 작품이다. 이치카와 곤 감독은 원작의 탐미주의를 미스터리적 요소로 변형하여, 인간의 숨겨진 욕망을 파헤치는 연출을 시도했다. 영화는 국내외에서 다양한 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지만, 일각에서는 스캔들을 노린 작품이라는 비판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9년 영화 - 독립협회와 청년 이승만
    신상옥 감독이 연출하고 최태웅 작가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독립협회와 청년 이승만》은 김진규, 김승호, 도금봉, 최은희 등 당대 최고의 배우들이 출연하여 이승만의 청년 시절과 독립협회 활동을 그린 액션 대하 사극 전기물이다.
  • 1959년 영화 - 소매치기 (영화)
    《소매치기》는 로베르 브레송 감독의 1959년 영화로, 파리에서 소매치기를 하며 죄의식과 구원을 경험하는 젊은 남자의 이야기를 다룬다.
  • 일본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 - 버닝 (2018년 영화)
    이창동 감독의 2018년 영화 《버닝》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소설 〈헛간을 태우다〉를 모티브로 유아인, 스티븐 연, 전종서 주연으로 소설가를 꿈꾸는 청년 종수와 어린 시절 친구 해미, 수상한 남자 벤의 미스터리하고 불확실한 이야기를 그리며 칸 영화제에서 주목받고 국내외 유수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 일본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 - 지금 만나러 갑니다 (2018년 영화)
    2018년 개봉한 영화 《지금 만나러 갑니다》는 이치카와 타쿠지의 소설을 원작으로 아내를 잃은 남편과 기억을 잃은 채 다시 나타난 아내의 사랑 이야기를 그린 판타지 로맨스 영화로, 소지섭과 손예진 주연, 박스오피스 1위, 손예진의 더 서울어워즈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수상 등 흥행과 평가 면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 일본의 영화 작품 - 아카메 48 폭포 자살미수
    무라카미 류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아카메 48 폭포 자살미수》는 1971년 아카메 48 폭포에서 벌어지는 영화 제작자와 자살 시도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사회적 약자와 자살 문제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며, 여러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지만 폭력적인 묘사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일본의 영화 작품 - 킹콩의 역습
    1967년 개봉한 일본 괴수 영화 《킹콩의 역습》은 악당 과학자 닥터 후가 로봇 메카니콩을 이용해 엘레먼트 X를 얻으려다 킹콩과 격돌하는 이야기로, 고로자우루스, 대우미헤비 등 다양한 괴수가 등장하며 도쿄에서 킹콩과 메카니콩의 대결을 보여준다.
열쇠 (1959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Odd Obsession 포스터
영화 포스터
원제鍵 (Kagi)
로마자 표기Kagi
의미열쇠
영화 정보
감독이치카와 곤
제작후지이 히로아키, 나가타 마사이치
각본게이지 하세베, 이치카와 곤, 와다 나토
원작다니자키 준이치로열쇠
출연교 마치코, 나카무라 간지로 2세, 나카다이 다쓰야, 하무라 준
음악아쿠타가와 야스시
촬영미야가와 카즈오
편집후지이 히로아키
제작사다이에이 영화
배급사다이에이 영화, 워너 브라더스, 핀란드
개봉일1959년 6월 23일 (일본)
상영 시간107분
국가일본
언어일본어

2. 줄거리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1956년 소설 열쇠[14]를 원작으로 하지만, 영화의 줄거리는 원작 소설과 상당 부분 다르다.[8] 감독 이치카와 곤은 원작의 탐미주의를 그대로 영화화하기보다 미스터리적 요소를 가미하여 각색했으며, 제목 '열쇠'의 의미 또한 원작과 다르게 해석했다.

영화는 나이 든 미술사학자 켄모치(나카무라 간지로), 그의 젊은 아내 이쿠코(쿄 마치코), 딸 토시코(카노 스미코), 그리고 켄모치의 조수이자 토시코의 약혼자인 키무라(나카다이 타츠야) 사이의 복잡하고 뒤틀린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켄모치는 질투심을 통해 자신의 남성성을 회복하려 의도적으로 키무라와 아내 이쿠코의 관계를 조장하지만, 이는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며 인물 간의 애증과 배신이 얽히는 비극을 낳는다. 영화는 원작과 다른 사건 전개와 결말을 통해 고유의 긴장감을 부여한다.

2. 1. 원작 소설의 줄거리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의 줄거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2. 2. 영화의 줄거리

고미술 감정가 켄모치(나카무라 간지로)는 교토시 내 대학 병원에서 정력 감퇴 문제로 호르몬 주사를 맞고 있다. 그는 자신보다 훨씬 젊은 아내 이쿠코(쿄 마치코)와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병원의 인턴인 키무라(나카다이 타츠야)를 딸 토시코(카노 스미코)의 사윗감으로 생각한다. 켄모치는 아내 이쿠코를 향한 키무라의 관심을 유도하여 질투심을 유발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남성성을 회복하려 한다. 그는 술에 취해 잠든 이쿠코의 나체를 키무라에게 보이게 하고 진료를 부탁하는 등 상황을 계획적으로 만든다.

이쿠코는 처음에는 남편의 계획에 동조하지만, 점차 키무라에게 진심으로 끌리게 되어 불륜 관계를 맺는다. 한편, 키무라가 켄모치 가문에 접근한 주된 이유는 학업을 계속하기 위한 재정적 지원을 얻기 위함이었다. 딸 토시코 역시 키무라와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어머니와 키무라의 관계 및 아버지가 이를 알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충격을 받아 집을 나가 하숙한다.

켄모치는 키무라와 토시코의 약혼을 진행하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호르몬 주사의 부작용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쓰러져 사망한다. 장례식 후, 켄모치의 골동품은 이미 처분되었고 집은 저당 잡혀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이쿠코, 토시코, 키무라는 함께 살기로 계획하지만, 그들 사이의 관계는 복잡하게 얽혀있다. 이쿠코는 키무라에게 토시코와 결혼하여 켄모치의 집에서 병원을 개업하라고 제안하기도 한다.

토시코는 어머니 이쿠코를 독살하기 위해 홍차에 농약을 넣지만, 색맹인 하녀 하나(키타바야시 타츠코)가 실수로 농약 가루와 무해한 세정제를 바꿔놓아 실패한다. 이후, 주인 가족의 부도덕한 관계를 알게 된 하나는 고의로 샐러드에 농약을 뿌려 이쿠코, 토시코, 키무라 세 사람을 모두 독살한다. 세 사람은 혼란 속에서 죽음을 맞이한다.

사건 후 하나는 자수하지만, 형사들은 이쿠코의 일기 등을 통해 복잡한 관계를 파악하고, 정황상 앞뒤가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판단하여 하나의 자백을 노망으로 치부하고 세 사람의 죽음을 자살로 결론짓는다.[8]

3. 등장인물

(내용 없음)

3. 1. 주요 등장인물

wikitext

배우배역
쿄 마치코켄모치 이쿠코
2대 나카무라 간지로켄모치
나카무라 간지로 2세켄모치 켄지
카노 준코켄모치 토시코
나카다이 타츠야키무라
하마무라 준소마 박사
키타바야시 타니에하나
쿠라타 마유미코이케
사잔카 큐골동품상
스가이 이치로안마사 / 이시즈카
우시오 만타로코다마 박사
호시 히카루형사 B
이토 코이치구회의 남자
하나부 타츠오구회의 남자
오야마 켄지구회의 남자
카와하라 칸지구회의 남자
타카무라 에이이치구회의 남자
난부 쇼조구회의 남자
다테 사부로형사 A
나카조 시즈오형사 C
미나미 카츠오
사사키 마사토키
스미다 카즈오
코스기 미츠시
스기야마 아키라


3. 2. 조연


  • 쿄 마치코 - 켄모치 이쿠코 역
  • 나카무라 간지로 2세 - 켄모치 켄지 역
  • 카노 준코 - 켄모치 토시코 역
  • 나카다이 타츠야 - 키무라 역
  • 하마무라 준 - 소마 박사 역
  • 키타바야시 타니에 - 하나 역
  • 쿠라타 마유미 - 코이케 역
  • 사잔카 큐 - 골동품상 역
  • 스가이 이치로 - 안마사 역
  • 우시오 만타로 - 코다마 박사 역
  • 스기이 이치로 - 이시즈카 역
  • 호시 히카루 - 형사 B 역
  • 다테 사부로 - 형사 A 역
  • 나카조 시즈오 - 형사 C 역
  • 이토 코이치 - 구회의 남자 역
  • 하나부 타츠오 - 구회의 남자 역
  • 오야마 켄지 - 구회의 남자 역
  • 카와하라 칸지 - 구회의 남자 역
  • 타카무라 에이이치 - 구회의 남자 역
  • 난부 쇼조 - 구회의 남자 역
  • 미나미 카츠오
  • 사사키 마사토키
  • 스미다 카즈오
  • 코스기 미츠시
  • 스기야마 아키라

4. 제작

이 영화는 다이에이 도쿄 촬영소에서 제작되었다. 상영 시간은 107분(8권/2933m)이며, 아그파컬러와 다이에이 스코프(2.35:1) 화면 비율, 24fps, 모노럴 녹음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영화윤리 관리위원회로부터 번호 11299를 부여받았으며, 성인 영화로 지정되었다.[8]

공개일 및 배급사 정보
국가공개일배급사
일본1959년 6월 23일다이에이
프랑스1960년 5월 (제13회 칸 영화제)-
핀란드1960년 10월 14일워너 브라더스 핀란드
미국1961년 5월 12일, 1961년 12월 4일에드워드 해리슨



주요 제작진 정보[16]
역할이름
제작나가타 마사카즈
기획후지이 히로아키
감독이치카와 곤
원작다니자키 준이치로
각본하세베 게이지, 와다 나츠토, 이치카와 곤
촬영미야가와 가즈오
조명이토 유키오
미술시모가와라 도모오
녹음니시이 켄이치
편집나카시즈카 다쓰지
음악아쿠타가와 야스시
장치하라시마 도쿠지로
의상 구성우에노 요시오
메이크업노무라 킷키
색채 기술다나카 쇼조
현상도쿄 현상소
조감독나카무라 바이야
제작 주임쿠마다 아사오


4. 1. 기획 및 각색

영화의 원작은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소설 《열쇠》이다. 이치카와 곤 감독은 공동 각본가인 와다 낫토, 하세베 케이지와 함께 각색 작업을 진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원작과는 다른 여러 설정이 추가되었다. 가장 큰 변화는 원작에 없는 '하나'라는 하녀 캐릭터를 새롭게 등장시킨 점과, 결말에서 하나가 이쿠코, 토시코, 키무라를 독살하는 내용을 추가한 것이다.[5] 이는 원작의 비극성을 더욱 강조하기 위한 각색으로 볼 수 있다.

영화화 기획 초기에는 원작의 성적인 묘사가 국회에서 비판받는 등 사회적 논란이 일었다. 이 때문에 원작자 다니자키 준이치로는 대영의 중역이자 작가인 가와구치 마쓰타로를 통해 영화화를 거절했고, 제작은 약 1년간 중단되었다. 이후 다니자키와 친분이 있던 영화 평론가 요도가와 나가하루가 이치카와 감독에게 연락하여 다니자키가 영화화를 허락할 의사가 있음을 전했다. 이치카와는 요도가와, 영화세계사의 다치바나 고이치로와 함께 아타미에 있는 다니자키의 자택을 방문하여 영화화 권리를 얻었다. 다니자키는 "국회 소동도 잠잠해졌고, 수백만 엔짜리 불상을 사고 싶어 돈이 필요해 영화화를 허락했다"고 밝혔다고 한다. 당시 원작료는 150만였으며, 이치카와 감독의 아내이자 각본가인 와다 나쓰토가 저축한 돈으로 마련했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제작 방식과 달리 감독이 직접 원작 권리를 확보하여 영화사에 제작을 제안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이치카와 곤 감독은 원작의 탐미주의를 그대로 영화로 옮기면 평면적인 요약에 그칠 것이라 판단했다. 대신 그는 작품을 일종의 미스터리로 재해석하고, 제목 '열쇠'의 의미 또한 원작과 전혀 다르게 설정했다. 완성된 각본을 본 다니자키는 "이건 좀 다른 것 같다"는 의견을 표했지만, 큰 갈등 없이 제작은 진행되었다. 이치카와는 인간 내면에 숨겨진 어두운 욕망, 즉 "음성(陰性)"을 표현하기 위해 배우들에게 표정 변화가 거의 없는 능면과 같은 메이크업을 하도록 했고, 주요 인물 외에는 화면에 직접 등장시키지 않는 연출 방식을 사용했다. 이러한 연출에는 당시 이치카와가 심취해 있던 프랑스 영화의 영향도 있었다. 또한, 전작 《염상》에서 처음 호흡을 맞춘 촬영 감독 미야가와 가즈오와의 협업이 더욱 원활해지면서 색채 설계나 후반 작업 등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다.

4. 2. 촬영 및 연출

이치카와 곤 감독은 원작 소설이 가진 탐미주의를 영화적으로 그대로 옮기면 좋은 결과가 나오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대신, 그는 이야기를 일종의 미스터리로 재해석하고, 제목인 '열쇠'의 의미도 원작과는 다르게 설정했다.

이치카와는 인간 내면에 숨겨진 어두운 본성, 즉 "음성"(陰性)을 파고들기 위해 독특한 연출 방식을 사용했다. 배우들에게는 감정이 잘 드러나지 않도록 노멘(能面, 능면)처럼 표정 변화가 거의 없는 화장을 하도록 했고, 주요 등장인물 외에는 화면에 직접적으로 등장시키지 않았다. 이러한 연출은 당시 이치카와 감독이 심취해 있던 프랑스 영화의 영향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촬영 감독 미야가와 가즈오와의 협업 역시 주목할 만하다. 두 사람은 영화 《염상》에서 처음 호흡을 맞춘 이후, 이 작품에서 더욱 긴밀하게 협력했다. 특히 색채 설계나 촬영 후반부에 몰아서 진행하는 소품 촬영 등에서 막힘없이 작업을 진행하며 영화의 완성도를 높였다.

5. 평가

영화 《기묘한 집착》은 개봉 당시 일본 국내외에서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파격적인 소재와 표현 방식은 격렬한 논쟁을 야기했으며, 긍정적인 평가와 비판적인 시각이 공존했다.

국제적으로는 1960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과 새뮤얼 골드윈 국제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6][7] 그러나 프랑스의 저명한 영화사가 조르주 사둘과 같이 영화의 선정성과 서구 시장을 의식한 상업성을 문제 삼으며 강하게 비판하는 목소리도 있었다.[15] 이처럼 영화는 예술성과 상업성, 그리고 표현 수위를 둘러싼 다양한 논쟁 속에서 상반된 평가를 받았다.

5. 1. 비판적 시각

영화가 공개된 후 국내외에서는 호평과 비판이 엇갈렸다. 특히 프랑스의 저명한 영화사가 조르주 사둘은 이 영화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그는 이 영화가 단순히 "스캔들을 노리고 서양 관객을 위해 만들어진 작품"이라고 비판하며, 상업적인 의도를 문제 삼았다.[15] 나아가 사둘은 "훌륭한 영화를 꾸준히 만들어 온 일본이 어째서 칸 영화제에 이런 역겨운 오물 같은 영화를 출품했는지 모르겠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또한 당대 일본의 대표적인 여배우였던 쿄 마치코가 이러한 영화에 출연한 것에 대해 "얼마나 슬픈 일인가"라며 안타까움을 표현하기도 했다.[15] 이러한 비판은 영화의 선정성과 서구 시장을 지나치게 의식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국내외적으로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5. 2. 긍정적 평가

영화 《기묘한 집착》은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1960년 칸 영화제에 출품되어 심사위원상을 수상했으며,[6] 같은 해 새뮤얼 골드윈 국제상도 수상했다.[7]

이치카와 곤 감독은 원작 소설의 탐미주의를 영화적으로 단순히 옮기기보다, 인간 내면의 숨겨진 욕망, 즉 '음성'을 탐구하는 미스터리 형식으로 새롭게 해석했다. 이를 위해 원작의 제목인 '열쇠'가 가진 의미를 변경하고, 배우들에게는 표정 변화가 거의 없는 가면과 같은 메이크업을 적용했다. 또한 주요 인물 외에는 화면에 직접적으로 등장시키지 않는 등 독창적인 연출 기법을 선보였다. 이는 당시 이치카와 감독이 프랑스 영화에 깊은 관심을 가졌던 것과도 관련이 있다.

촬영 감독 미야가와 가즈오와의 성공적인 협업 또한 영화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두 사람은 영화 《염상》에 이어 다시 호흡을 맞추며, 섬세한 색채 설계와 효율적인 소품 촬영 등을 통해 감독의 연출 의도를 효과적으로 구현했다.

이 영화는 일본 국내에서도 큰 흥행을 기록하며 대중적으로도 성공을 거두었다. 비록 영화사가 조르주 사둘과 같이 "스캔들을 노리고 서양 관객을 의식해 만든 영화"라며 비판적인 시각을 보인 평론가도 있었지만,[15] 국내외 수상 실적과 흥행 성공은 이 영화가 예술성과 대중성을 모두 갖추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평가받는다. 특히 교 마치코와 같은 유명 배우가 출연했음에도 불구하고 논쟁적인 주제를 과감하게 다루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6. 수상

7. 리메이크

이 영화 이후로도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소설 『열쇠』를 원작으로 하는 영화가 여러 편 제작되었다.[10] 주요 리메이크 작품은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감독주연
1974년열쇠진다이 타츠미아라사 유키, 칸제 히데오
1983년열쇠키마타 타카타카마츠오 카요, 오카다 마스미
1983년열쇠 La Chiave|라 키아베it틴토 브라스스테파니아 산드렐리, 프랭크 핀레이
1997년열쇠이케다 토시하루카와시마 나오미, 에모토 아키라


참조

[1] 뉴스 Japan Society Reintroduces the Filmmaker Kon Ichikawa https://www.nytimes.[...] 2023-06-26
[2] 웹사이트 鍵 http://sp.kinenote.c[...] Kinema Junpo 2020-12-27
[3] 웹사이트 鍵 https://kotobank.jp/[...] Kotobank 2020-12-27
[4] 웹사이트 鍵 http://www.jmdb.ne.j[...] Japanese Movie Database 2023-06-26
[5] 서적 From Book to Screen: Modern Japanese Literature in Films M.E. Sharpe
[6] 웹사이트 Kagi https://www.festival[...] 2023-06-26
[7] 웹사이트 Odd Obsession http://www.goldenglo[...] 2023-06-26
[8] 문서 ''鍵'' 文化庁 2012-06-21
[9] 문서 ''鍵'' 東京国立近代美術館フィルムセンター 2012-06-21
[10] 문서 ''鍵'' 日本映画データベース 2012-06-21
[11] 문서 ''Odd Obsession '' 인터넷・ムービー・データベース 2012-06-21
[12] 문서 「か行――鍵」
[13] 문서 「京マチ子――鍵」
[14] 문서 谷崎潤一郎 鍵 https://iss.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12-06-21
[15] 문서 『完本 市川崑の映画たち』
[16] 문서 本編では「熊田朝男」と表記されている。
[17] 웹인용 Festival de Cannes: Odd Obsession http://www.festival-[...] 2009-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